【김태영의 세종칼럼】세종특별자치시가 대한민국의 희망이다.
상태바
【김태영의 세종칼럼】세종특별자치시가 대한민국의 희망이다.
  • 김태용부동산전문기자[부동산칼럼니스트.토지학박사.공인중개사]
  • 승인 2020.07.12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종특별자시치의 명소 방축전 수변공원. 방축천 수변공원은 도심 속 테마하천공원으로 방축천 10교~16교 둔치 사이에 5가지 테마로 이뤄져 있다. 수변식물테마공원, 세종광장, 자연생태학습, 친수문화, 친수활동 구간으로 세종특별자치시민의 휴식공간이자 세종특별자치시의 새로운 명소가 되어가고 있다.[사진=세종시청제공]
세종특별자시치의 명소 방축전 수변공원. 방축천 수변공원은 도심 속 테마하천공원으로 방축천 10교~16교 둔치 사이에 5가지 테마로 이뤄져 있다. 수변식물테마공원, 세종광장, 자연생태학습, 친수문화, 친수활동 구간으로 세종특별자치시민의 휴식공간이자 세종특별자치시의 새로운 명소가 되어가고 있다.[사진=세종시청제공]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세계 무역 규모 7위다,

또 1인당 국민소득역시 3만 2,115달러인 24위로 지구촌 나라의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일제의 식민지국가라는 오명에다 미국, 중국에 눈치보고 소련과 일본 등에도 밀리는 약소국이다.

왜, 그런가?

군부 독재세력과  민주와 시민 세력, 사법고시 등의 세력들이 장기 집권하면서 그들이 사는 서울 중심으로 수도권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기능을 집중시켰기 때문이다.

국가의 도시체제가 다 도시체제가 아닌 서울 중심의 1도시 체제이기 때문이다.

민주주의 교과서라는 미국의 행정 수도는 워싱턴이고, 경제 수도는 뉴욕 등에 있다.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도 행정 수도는 북경에 있고 경제 수도는 상해 등에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떤가.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나라 인구의 절반 정도인 약 2600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김태용부동산전문기자[부동산칼럼니스트.토지학박사.공인중개사]
김태용부동산전문기자[부동산칼럼니스트.토지학박사.공인중개사]

중심도시는 서울 하나 뿐이 없는 왕조시대의 도시 형태 단핵(單核) 구조를 아직도 그대로다

국가는 서울에 있는 나라의 중심 기능 국회 등을 분산시키는 기능 재정립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래야 국토의 고른 발전으로 나라 경제도, 국방도 외세의 관섭 없는 자주 경제, 국방 시대가 열릴 것이다.

 국민들도 이 땅에 사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긍지를 가질 것이다. 

겉으로는 균형발전을 외치면서 속으로는 권력의 안위를 위해 수도권 민심의 눈치나 보는 세력들이 집권하는 한 이 땅은 영원히 강자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 같다. 

행정수도 세종이 그런 면에서 희망이다.

세종이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완공되는 2030년 이후를 생각해보자.

그 때 쯤이면 세종권의 인구는 약 320만명(대전 150만명, 세종 80만명, 청주 80만명, 공주 10만명)이다.

명실공히 대한민국 제2의 광역경제권이 탄생하는 것이다.

모든 인프라는 세종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당진 ~ 상주간 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등이 동서남북으로 엮여 있으며 서울과 세종을 약 50분대에 주파하는 선진고속도로는 2024년까지 개통될 예정이다.

영 ․ 호남을 잇는 일반 철도와 고속 철도가 지나며 강원을 연결하는 충북선도 고속화될 예정이며 청주공항 ~ 조치원 ~ 대전 ~ 논산을 잇는 충북권 내륙철도는 2025년까지 완공 예정이다.

보령 ~ 부여 ~ 공주 ~ 세종을 잇는 문화 철도는 구상 중인데 행복도시 내 박물관 단지가 완공될 경우 세종, 유성, 금강, 계룡산 등을 연계한 백제관광 시대도 머지않아 보인다.

얼마 전만 해도 물은 판매의 대상이 아니었다.

조선시대 대동강 물을 봉이 김선달이나 팔았을 것 같은 일이 이젠 가판대에서 건강수, 심층수 등으로 팔리고 있다.

화장실에 비데는 없어도 살 것 같았는데 그냥 볼일보고 나오면 뭔가 부족감을 느끼게 하는 시대에 우린 또 살고 있다.

전화기는 문자나 말 정도 전달 기능에서 지금은 여러 가지 기능을 복합한 종합기로 정보화 사회를 리드하고 있다.

이 상품들은 문명의 흐름을 현실에 접목시킨 당대의 히트 상품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걸 작품으로 대한민국이 2000년 이후에 탄생시킨 역사 상품이다.

세종이란 상품이 히트를 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역량을 모아야한다.

세종특별자치시가 한반도를 넘어 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도시들과 나란히 하는 날은 위기 때면 뭉치는 우리 국민성으로 볼 때 향후 10년 내에 올 것으로 보인다.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완공되는 2030년 이후면 전국에서 외국에서 많은 사람들은 꿈을 실현하기 위해 세계적인 행복도시, 스마트 도시 세종으로 몰려 올 것이다.

단군이 한반도에 고조선을 세운 이후 인간이 만들어내는 인문적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이 함께 어우러지는 당대의 예술 작품이 삼산이수(원수산, 전월산, 괴화산, 미호천, 금강)의 땅 세종에 그려지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가 대한민국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편집자주:외부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