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경찰청도 대법원에 이어 "공수처법 개정안 일부 내용 고처야"
상태바
【속보】경찰청도 대법원에 이어 "공수처법 개정안 일부 내용 고처야"
  • 신수용 대기자
  • 승인 2020.10.05 12: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찰청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에 대해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실은 " 대법원 행정처에 이어 경찰청은 개정안의 수사관 인원 규정 등 3개 항목에 대해 수정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경찰청이 공수처법에 대해 일부 수정과 검토의견을 낸것은 대법원 행정처에 이어 두번 째다. 

경찰청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에 대해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사진=네이버 블로그 폴리진켑처]
경찰청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 개정안에 대해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사진=네이버 블로그 폴리진켑처]

 

앞서 국민의힘이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원 선정을 거부하자,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교섭단체 대신 국회가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원 4명을 선정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수처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경찰청은 개정안 내용 중 공수처 수사관을 '40명 이내'→ '50명 이상 70명 이내'로 확대하는 내용에 대해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수처장이 검찰·경찰등 수사기관에 수사협조를 요청하면 이에 응하도록 한 조항,  다른 수사기관이 범죄혐의를 이첩해야 하는 대상을 '검사'에서 '검사 또는 경무관급 이상 경찰공무원'으로 확대한 조항에는 반대했다.

검찰청 수사관 인력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경찰청은 '검찰청에서 파견받은 검찰 수사관을 수사관 정원에 포함하는 단서도 개정안에 넣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경찰청은 "이 단서가 없으면 공수처가 검찰 출신 수사관으로 과밀·독점화될 우려가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경찰청은 또 "공수처의 수사협조 요청에 바로 응하도록 의무를 부과한 것은 검.경찰의 재량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며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응하도록 규정해야 한다"고 수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두 가지 조항에 대한 경찰청의 의견은 앞서 대법원 법원행정처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시한 의견과 일맥상통한다.

경찰청은 공수처 이첩 대상은 현행대로 '검사'로 남겨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공수처의 신설취지가 공수처와 검찰이 서로 수사가 가능하도록 한 '견제 장치'로, 경찰공무원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모든 경찰공무원은 검사의 직접수사 범위에 포함되는 등 관련규정을 살펴봐도 다수의 견제장치가 있다"고 소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