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지난 9월23일 밤 목격된 화구(火球), 충남서천 상공에서 폭발. 낙하됐다."
상태바
【속보】 "지난 9월23일 밤 목격된 화구(火球), 충남서천 상공에서 폭발. 낙하됐다."
  • 이은숙 기자
  • 승인 2020.12.15 14:0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9월 23일 새벽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목격됐던 ‘화구’는 충남 서천 상공에서 진입한뒤 떨여지면서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사진=본지db. 네이버블로그켑처]
지난 9월 23일 새벽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목격됐던 ‘화구’는 충남 서천 상공에서 진입한뒤 떨여지면서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사진=본지db. 네이버블로그켑처]

지난 9월 23일 새벽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목격됐던 ‘화구’는 충남 서천 상공에서 진입한뒤 떨여지면서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 9월 23일 01시 39분(KST 기준) 경기도 및 충청 지역 일대 등 에서 화구(火球, fireball; 평범한 유성보다 밝은 유성)가 목격됨

대전소재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에 따르면 이 화구(火球, fireball; 평범한 유성보다 밝은 유성)는 지난 9월 23일 01시 39분(KST 기준) 충청.경기 지역 일대 등에서 목격됐다.

이 화구는 대기권에 진입한 뒤 낙하하는 동안 충남 서천 상공에서 두 차례 폭발했으며, 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

화구는 일반적인 유성보다 밝은 유성으로, 금성(겉보기 등급 약 -4등급)보다 밝게 빛난다.

전국 각지에서 이날 서천 화구가 목격됐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폭발음도 보고됐다.

천문연에 따르면 서천 화구는 대기권에 진입해 밝게 빛난 후 소멸하기까지 두 차례 폭발했다.

 유성체가 빠른 속도로 대기에 들어오는 경우 전방에 압력이 가해져 유성 폭발이 일어나며, 이는 자주 관측되는 현상이다. 

다만 이번 화구와 같이 보름달보다 밝게 빛난 사례는 드물게 일어난다.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시험 가동 중인 유성체 감시 네트워크를 통해 서천 화구를 포착했고, 감시카메라의 전천 영상을 분석해 궤적을 분석했다. 

대전·거창 관측소 전천 카메라 영상, 일반인 제보 영상 등도 이번 분석에 활용됐다.

그 결과 서천 화구는 오전 1시 39분경 서쪽 하늘에서 날아와 서해 상공 고도 70km에서 빛나기 시작했고 대기 중에서 두 차례 폭발 후 사라졌다.

화구의 대기권 진입 속도는 초당 13㎞, 입사각은 40도로 계산됐다.

서천 화구가 대기 중에서 모두 연소되지 않고 남아 낙하했다고 가정하면 이후 궤적은 2차 폭발 지점을 지나 이동 방향으로 40km 이내에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단, 화구의 비행궤적은 폭발 에너지와 당시 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정확한 낙하지점을 특정하기는 어렵다.

현재까지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유성의 잔해물, 즉 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구축 중인 유성체감시네트워크에 포착된 지난 9월23일 서천지역 상공의 화구 영상. 국천문연구원 본원 옥상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사진=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이 구축 중인 유성체감시네트워크에 포착된 지난 9월23일 서천지역 상공의 화구 영상. 국천문연구원 본원 옥상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사진=한국천문연구원]

운석 감정등 연구기관인 한국지질자연연구원도 동일 시간에 군산, 대전 등의 음파관측소에서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음파를 확인했으며, 태안·홍성·서산·대전 등 일부 지진관측소에서도 서천 화구로 인한 대기-지상 결합 지진파가 확인돼 현재 추가 분석 중이다.

 향후 결합 지진파 분석을 통해 서천 화구의 폭발에너지와 유성체의 크기 추산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음파관측소는 지난 2014년 3월 19일 진주 운석 낙하 당시 19개 음파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해 운석의 궤적과 지구 표면 충돌 시간, 충격 에너지를 추정한 바 있다.원문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KJH 2020-12-15 16:16:53
개재앙 디질 징조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