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세종·대전 등 충청권 근로자 총수익 74조3498억... 전국의 9.97%에 불과
상태바
【속보】세종·대전 등 충청권 근로자 총수익 74조3498억... 전국의 9.97%에 불과
  • 권오주 기자
  • 승인 2022.11.21 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충청권 근로자 199만 9353명이 번 총 수익금은 74조3498억 8500만 원
- 세종 6조6640억9900만 원(15만1361명) 대전 20조 9908억300만 원(55만 1354명)
- 충남 27조 104억 5600만원( 73만 9423명) 충북 19조7025억2700만 원(55만7215명)
- 수도권 1134만 8466명 근로자 번 총수익금 452조 9740억 3700만 원의 16.1%
- 강준현 “수도권 60% 점유…. 지방에 기업 유치 등 필요”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정부세종2청사 국세청동)에 소재한 국세청 본청[ 사진= 국세청제공].png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정부세종2청사 국세청동)에 소재한 국세청 본청[ 사진= 국세청제공].png

세종·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의 근로소득이 국내 전체 근로소득의 9.9%로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대기업 등 주요 기업을 충청권 4개 시·도로 유치해 균형발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본지>가 국회 기재위 소속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세 종을 구)이 국세청으로 받은 자료를 분석해보니, 충청권은 근로소득 근로자는 199만 9353명으로 이들의 총 수익금은 74조3498억 8500만원이다.

세종·대전·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의 총 근로소득 수익금을 구체적으로 보면, △세종 6조6640억9900만 원(15만1361명) △대전 20조 9908억300만 원(55만 1354명)△충남 27조 104억 5600만 원( 73만 9423명) △충북  19조7025억2700만 원(55만721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전체 근로자 1949만4,867명이 번 수익금 746조3063억 2000만 원의 9.96%에 불과하다.

2020년 귀속근로소슥 신고현황[ 사진= 강준현 의원. 국세청 제공].png
2020년 귀속근로소슥 신고현황[ 사진= 강준현 의원. 국세청 제공].png

또한, 충청권 4개 시도의 총 근로소득 수익금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1134만 8466명의 근로소득자가 벌어들인 총수익금 452조 9740억 3700만 원에 비해서도 16.1%에 그친다.

2020년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 근로자 1134만8000명의 경우 벌어들인 근로소득( 453조 원)으로 전체 근로소득(746조3000억 원) 대비 60.7%에 해당했다.

  서울(592만6000 명)이 247조2천억원(비중 33.1%), 경기(452만1000명)가 174조원(23.3%), 인천(90만1000명)이 31조7000억 원(4.2%) 이었다.

  3년 전과 비교하면 수도권 근로소득 점유율은 2017년 60.4%에서 소폭 올랐다. 

인구 비중이 같은 기간 58.5%에서 58.2%로 낮아지는 사이 수도권의 소득 비중은 더 높아진 것이다.

  지역별 근로소득 상위 10%로 놓고 봐도 수도권 소득 집중 현상은 두드러졌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세종을구 국회의원[ 사진=강의원실제공].png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세종을구 국회의원[ 사진=강의원실제공].png

2020년 서울 상위 10%에 해당하는 59만3000명이 번 근로소득은 전체 소득의 10.9%에 해당하는 81조7000억 원이었다. 경기 상위 10%인 45만2000명의 소득은 55조2000억 원(7.4%)이었다.

  서울 상위 10%와 경기 상위 10%의 총소득은 각각 경남(105만5000명·38조3000억 원), 부산(103만6000명·35조3000억 원), 경북(83만5000명·31조3000억 원) 등 다른 15개 시·도의 총소득을 웃돈다.

  서울 상위 10%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1억3800만 원으로 17개 시도 상위 10% 가운데 가장 많았다. 경기 상위 10%의 평균 소득은 1억2200만 원이었다.

  강준현 의원은 "상위 근로소득자를 포함한 근로소득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대기업을 비롯한 주요 기업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이 원인”이라며 "지방소멸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라도 지방 지역으로의 기업 유치 등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기사내용중 일부 내용은 강준현의원실이 제공한 도표 등을 인용해 작성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