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근로시간 개편안 '바쁠 때 몰아서 일하고 길게 쉴 수 있어 찬성' 29%,
- 정부개편안,'불규칙·장시간 노동, 삶의 질 저하 우려되어 반대' 63%
![지난 6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임효진 기자].png](/news/photo/202303/5765_12612_944.png)
충청인들은 정부가 지난 6일 내놓은 '근로시간 개편안' 중 논란이 된 '주 최대 69시간'에 대해 63%( 전국평균 56%)가 '반대'의견을 보인 것으로 19일 나타났다.
또 법정근로시간에 대해선 현행 주52시간에 대해 '적정하다'는 응답이 10명중 6명이 응답,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한 여론조사결과(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를 <본지>가 분석해보니, 이같이 집계됐다.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안은 근로시간 관리 기준을 주간에서 월간·분기·반기·연간 등으로 확장하는 게 골자로, 해당 기간 평균 일하는 시간은 주당 52시간 내로 제한하되 특정 주에는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하는 안이다.
충청인들은 이 근로시간 개편안(특정 주 최대 69시간)에 대해 '불규칙·장시간 노동, 삶의 질 저하 우려되어 반대'라는 응답은 63%(전국 56%)가 반대했다.
![정부가 지난 6일 평균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하되, 특정주에는 69시간도 허용하기위해 내놓은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한 응답[사진=한국갤럽제공].png](/news/photo/202303/5765_12613_1042.png)
반면 '바쁠 때 몰아서 일하고 길게 쉴 수 있어 정부 개편안 찬성'이 29%(전국평균 36%), 의견 유보는 8%( 전국평균 8%)로 각각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며, 특히 30·40대와 사무직(이상 60%대 후반) 등에서 강하다"라고 풀이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부 근로시간 개편안은 노동 총량 증가 없이 관리 기준 기간을 확장한 것"이라며 "그러나 현행 법정근로시간(주당 최대 52시간) 적정 평가자(605명) 중에서도 개편안 찬성(34%)보다 반대(60%)가 많아, 특정 주 최대 69시간 노동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30·40대(각각 67%, 68%)와 사무직(68%)등에서 부정적 시각이 많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이 77%로 반대의견이 가장 많았다.
![충청인이 현행 주당 최대 52시간 법정근로시간에 대한 적정성여부[ 사진=한국갤럽제공].png](/news/photo/202303/5765_12614_1124.png)
찬성 의견이 많은 집단은 60대(찬성 53%), 국민의힘 지지층(62%), 보수층(54%), 자영업(45%), 윤석열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자(69%) 등이었다.
충청인은 또 현행 법정근로시간(주당 최대 52시간)에 대해서 적정여부를 묻자 66%( 전국평균 60%)가 '적정하다'라고 응답했다.
적정 평가자(605명) 중에서도 근로시간 개편안 찬성(34%)보다 반대(60%)가 많아, 특정 주 최대 69시간 노동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는 게 갤럽측의 설명이다.
반면, 법정근로시간(주당 최대 52시간)에 대해 '많다'는 응답 18%( 전국평균 19%, '적다'는 13%(전국평균 16%), '의견 유보'는3%( 전국평균 5%)였다.
한국갤럽은 "충청 뿐 아니라, 전국에서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절반 넘게 현행 법정관리시간이 적정하다고 평가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30대 4명 중1명(26%)은 주당 최대 52시간 노동이 과다하다고 느끼며, 자영업 종사자 4중 1명(27%)은 부족하다고 봤다"라고 분석했다.
갤럽은 "이같은 결과는 해당 법안 도입 초기와 일관된 경향으로, 과거 법정노동시간 단축을 가장 반긴 세대가 20·30대였고, 가장 꺼린 직업군이 자영업이었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