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광고로 언론관리하나】(1)세종시 1년간 광고 ①충청투데이 ②중도일보 ③대전일보 ④대전인터넷신문 順 
상태바
【세종시, 광고로 언론관리하나】(1)세종시 1년간 광고 ①충청투데이 ②중도일보 ③대전일보 ④대전인터넷신문 順 
  • 권오주 기자
  • 승인 2024.08.03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공시, 충청투데이 21건 최고...중도일보 16건, 대전일보15건, 대전인터넷신문14건
-세종시, 지난한해 12억 5000만 원 708건 광고...구체적 광고집행기준은 "못밝혀"
-특정인터넷등에게는 광고횟수 집중, 한건당 300만원이 다수
최민호 세종시정(市政)이 연간 12억5천만 원의 광고예산액중 특정언론사에 광고를 집중집행한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본지DB].png
최민호 세종시정(市政)이 연간 12억5천만 원의 광고예산액중 특정언론사에 광고를 집중집행한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본지DB].png

지난 7월 친여매체에 광고를 집중 집행한 대신, 비판언론은 광고를 배제하거나 줄였다가 양문석 더불어민주당(안산갑)의 호된 지적으로 유인촌 문체부장관이 사과하는 일이 벌어졌다.

유인촌 장관은 "국민의 혈세인데, 그런식으로 집행된 것 잘못된 것으로보인다. 확인해보겠다"라고 취지로 답변했다.

정부와 지자체등의 나랏돈이 지출되는 광고집행기준은 거의 없거나 제멋대로였으며, 언론사별로 광고금액비도 고무줄잣대다.

디지틀, 인터넷, 유튜브방송으로 언론의 장르가 급속히 바뀌었는데도 여전히 구독자수도 공개하지 않는 종이신문에만 광고를 선심쓰듯 나줘주고 있다. 

<본지>가 지난 3월부터 충청권 일부 지자체 출입기자들로부터 이같은 사실을 제보받아 4개월에 걸쳐 기획취재했다.

세종시청이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광고집행내역.[사진= 한국언론진흥재단].png
세종시청이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광고집행내역.[사진= 한국언론진흥재단].png

선출직 지자체장이 들어선 해당 지자체의 경우 지자체장의 입맛대로 광고를 주는 경우 허다하다.

더구나 일부 단체장이 취임하자마자 다음 선거를 겨냥해 자신의 치적이나 홍보성 보도자료를 잘써주는 언론사에게는 광고를 집중한 대신, 지자체 행정과 정책을 감시비판하는 언론은 별의별 구실을 붙여 광고를 거의 집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의 지난해 (2023년 1월1일~2023년 12월31일) 광고, 708건 12억 5000만원

<본지>가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받은 세종시청의 지난해(2023년 1월 1일~2023년 12월 31일) 광고집행내역을 보면 특정 언론사들에게 집중됐다.

일부 언론중에는 대다수의 기사 중에 세종시 보도자료를 토씨하나  안바꾸고 그대로  베껴, 기사끝에 바이라인에 기자 이름만 바꿔내는 '공무원 기자'(공무원이 쓴 보도자료 그대로 올리는 기자)', '보베기자'(보도자료를 그대로 베껴서 기자이름만 다는 기자)의 일부 언론사들에게 세종시가 광고를 집중했다는 제보를 추적했다. 
 
 반면  최민호 세종시장의 공약 불발과 불법의혹, 집단민원, 일부 측근들의 비행의혹, 혈세낭비, 인허가의혹을 비판, 감시에 주력해 언론의 책무에 노력해온 언론사들에 대해서는 아예 광고에서 제외하거나 1~3건에 그쳤다.

세종시 광고구수 1위 충청투데이, 2위 중도일보, 3위 대전일보 순.[사진= 본지DB].png
세종시 광고구수 1위 충청투데이, 2위 중도일보, 3위 대전일보 순.[사진= 본지DB].png

 세종시에 등록된 언론사는  450개사(세종시 추정)중에서,  이 기간  1건(공보관실.각 실.국집행)이라도 광고를 게재한 언론은 130개사였다.

결국 320개 세종시 출입언론사에게는 단 한 건도 광고를 주지않아, 기자들 사이에서 '지자체는 지방신문관련법에 군소매체육성의무'를 저버린행위라는 큰 불만이 나오고 있다. 

세종시의 광고비는 2023년 12억5000만 원, 2024년 12억5000만 원으로 2년간 25억 원이다. 

그러나 최 시장이 지난 2022년 7월 1일 취임한 그해 12월 31일까지는 광고건수와 금액은 제외한 숫자다.

◇···세종시가 집행한 광고 수주언론사 '빅 5'는 모두 대전소재 언론

세종시가 지난 한해 1년동안 집행한 광고 건수는 방송, 인터넷신문, 종이신문, 뉴스통신사, 유튜브방송, 잡지, 버스및 택시광고등을 합쳐 708건이다.

그중 지난한 해  세종시가 집행한 광고를 10건이상 수주한 언론사중 선두권 5개사는 모두 대전소재 언론사다.

(이춘희.최민호재임때 집행된 광고금액과 구체적 내역, 1~9건 광고수주회사. 0건 수주언론사등은 시리즈로 이어 보도,공개할 예정임)   

세종시가 임의로 지난 2016년 만든 출입기자등록등에 대한 준칙을 보더라도 보도자료와 광고는 세종시에 소재한 언론, 세종시청을 출입한 지 1년이상이 된자에게 제공한다라는 규정도 사실상 사문화된 셈이다. 

세종시청이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억5천만 원을 쓴 708건의 광고집행내역.[사진= 한국언론진흥재단].png
세종시청이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억5천만 원을 쓴 708건의 광고집행내역.[사진= 한국언론진흥재단].png

구체적으로 세종시가 제일 많이 준 1위 언론은 ▲대전소재 충청투데이로 21건이다.

다음으로 ▲2위는 대전소재 중도일보로 16건, ▲3위도 대전소재인 대전일보로 15번이다.

1위인 충청투데이와 2위인 중도일보와의 차이는 5건으로  한건당 500만원으로 친다면 금액면에서 3000만원,  충청투데이와 3위인 대전일보는 6건의 차이로 한 건당 500만원으로 금액면에서 3500만원이상의 차이를 보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종이 신문 3개사의 광고건수는 모두 52건이다.

이들 신문사 광고 한 건당 330만원에서 700만정도 였고, 이중 일부 신문사는 종이신문광고와 인터넷신문에 나눠 광고가 집행됐다.

그러나 74주년이 되는 구독자, 충청권 대표 네이버노출등 매체영향력에서 앞서는 대전일보가 충청투데이와 중도일보보다 광고집행건수와 금액에서 뒤져지는 것은 논란이 예상된다. 

왜냐면 세종시는 광고집행기준을 자체적 구독률, 매체영향력등을 일부적용한다고 기자에게 전해왔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4위는 대전소재인  대전인터넷 신문 13번 ▲공동 5위는 굿모닝충청과 세종의 소리로 12번이며, ▲공동 7위는 충청신문, 세종방송, Focus 뉴스로 11번이며▲공동 10위는 서울일보, 농수축산신문, 디트뉴스등이 10건이다.

이처럼 1년 동안 10번 이상 세종시로부터 광고를 받은 언론사는 12개사로 밝혀졌다.

문제는 12개 사중에 세종의 소리나 세종방송, Focus 뉴스를 제외하고 모두 세종소재지가 아닌 외지 소재 언론사들이다.

세종시청 기자실 2024.8.3.[사진=본지 DB].png
세종시청 기자실 2024.8.3.[사진=본지 DB].png

이 가운데 일부는  2022년 6.1지방선거전 만해도 이춘희 전임 시장과 더불어민주당의 '나팔수'라고 자처하던 기자가, 최민호 시장이 당선된 뒤 180도 안면을 바꿔 이춘희 전 시장을 비난.비판하며 지금은 최 시장의 홍보맨인 기자가 속한 언론사도 있다. 

◇··· 6개사에 1건 광고, Tvn은 단한건에 1억3000만 원 집행..."세종시가 해명할 의혹"

세종시청 출입언론사 320개사가 지난해 단 한건도 광고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1건의 광고를 수주한 언론사는 6개사다.

헤럴드 세종, 서울매일신문, 시사케치, 한국산문, 한국여성뉴스, Tvn등이다.

이가운데 세종시는 지난해 7월14일 Tvn에 단 한건의 광고료로 1억3000만 원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TJB, 대전MBC, KBS대전방송총국, 대전CBS, 충북CBS에 대해 세종시가 이무렵 한 건당 에 1000만~2000만원을 광고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세종시는 광고0건 320개 언론사에 대해 "세종시에 기자로 등록한뒤 재택근무를 하면서 메일로 보낸 보도자료를 옮기고 광고를 달라는 언론들이 많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매체 영향력에서 앞서는 전국채널의 뉴스통신사들은 하위권이다.

◇···세종시 기자들과 국회의원들 반응

취재과정에서 만난 세종시 출입기자들은 "굉장이 놀랍다"라며 "이춘희 전 시장때 친 이춘희 매체에만 광고를 몰아줘, 이유없이 광고홀대를 받은 언론들이 합창하듯 이춘희 공보정책을 비판하는 기류속에 2020년 6월 지방선거에서 낙선한 때와 똑같다"라고 말했다.

세종시 출입기자 A씨는 지난 2일 "저는 지난해 여러 건의 광고를 받았다"라며 "보도자료도 쓰고 비판기사도 한 두번썼다. 비판기사를 썼더니 자신들이 '내가 최민호를 당선켰다고 공공연히 말하는 공무원기자들이 찾아와 최민호 기사를 잘 써야 광고를 받는다'라고 하더라. 세종시는 국민혈세인 광고로 언론을 관리하냐"고 "라고 말했다.

A씨는 "회사에서 광고를 해오라고 쪼으고...최민호 (시장의)비판기사를 쓰면 광고를 못받을 것같고"라며 "기자로서 자존심이 상한다. 지자체 광고수주에서 해방되고 싶다"라고 쓴 웃음음 지었다.

세종시청 기자브리핑룸 2024.8.3.[사진= 본지DB].png
세종시청 기자브리핑룸 2024.8.3.[사진= 본지DB].png

B 기자는 "세종시 언론정책은 이미 잘못됐다고 평가난 이춘희 전 시장 때 언론정책을 그대로 답습했다. 오히려 더 후진적"이라며 "시장이 바뀌었으면 공정성과 기준대로해야하는데...세종시는 시민의 것이고, 세종시 홍보비는 국민의 혈세다. 시장이 주머니속 돌처럼 이뿐 놈만 주는게 아니다"라고 했다.

A, B 기자는 "시장이나 공보담당자들은 모르면 정부부처나 이웃 지자체를 찾아가서 어떻게 기자실을 운영하고 있는지 배워라"라며 "모두에게 공평한 취재편의 제공, 기준과 원칙을 세워 기자들이 불만이 없게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회 민주당 문체위소속 한 국회의원은 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언론의 본령을 잃은 친여 매체, 선출직 지자체장 나팔수역을 하는 언론에 광고를 몰아준 것은 이번 국감에서 다룰 것이며, 필요하면 지자체장과 담당자도 증인으로 부르겠다"고 말했다.

또다른 국회 과방위 소속 민주당 국회의원도 통화에서 "세종시등이 지자체장 홍보매체에만 광고를 몰아준 것은 배임가능성과 직권남용가능성이 높아 문체부, 과기부,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자체에 필요할 자료를 요구하겠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정홍보라는 애매한 이유로 광고집행, 광고효관, 관련공무원들의 의혹무마를 위한 특정언론에 대한 댓가성광고, 지자체장의 업적홍보를 위한  광고, 지자체장의 지시에의한 광고집등을 반드시 찾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시는 특정언론 광고기준과 금액집행이유를 묻자 "구독률과 매체영향력...?"

<본지>가 세종시 공보관실에 이들 언론사에 대한 광고집행이 집중된 이유와 기준을 묻자 "공보관실에서 집행한 것도 있고 실.국에서 집행한 것도 있다"라며 "구독자수, 매체영향력등을 일부 적용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광고집행기준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으나, 아마 구독률, 매체영향력등을 일부 고려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2가지 기준이 있는데 하나는 시정홍보효과 우선"이라고 했다.

이어 "또하나는 광역지자체는 지역신문육성법에 따라 지역언론을 육성할 책임이 있고, 금융적 ,재정적 책임을 지고 지역언론을 육성하되 군소매체를 최우선 지원한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신문법 4조에 따라 4분 1이상은 언론사 자체가 생산한 기사를 보도해야 돼지만 사실 이기준을 적용하면 세종시청 출입언론사중 상당수를 탈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시 공보관실 2024.8.2.[사진=본지DB].png
세종시 공보관실 2024.8.2.[사진=본지DB].png

 세종시 전 공보관 D씨는 '광고집행기준과 이유 ,불공평한 기준이 뭐냐'는 기자 질문에 "공보관실에 구독자수, 매체영항력등 기준이 있을 것"이라며 "현재는 저도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른다"라고 해명했다.

그의 답변대로 구독자률, 구독자수를 보고 광고를 집행했다면 종이신문은 해당 언론사의 구독자수를 정확하게 적용하거나 ABC등의 자료를 참고해야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의혹이 나온다.

세종시 종이신문 기자는 "구독자와 열독율을 참고했다면 구체적 구독자수 근거가 있을 것 아니냐, 9000부를 발행하는 종이신문과 3만명의 구독자를 가진 언론, 충북의 1만2000부 신문, 500부 구독자인 신문이 있는데 뭘 기준했느냐"라며 "혹시 우호적 신문, 비우호적 구분해 광고집행을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한 인터넷신문이나 유튜브방송의 경우도 그렇다.

 케케묵은 2000년대초에 일부 기관에서 광고기준을 네이버나 다음등 포털 검색여부를 따졌지만 시간이 지난 지금은 미디아 시장의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고 언론계에서는 밝히고 있다.

80, 90년대에는 종이신문과 방송였으나 이제 인터넷 유튜브시대여서 그 장르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세종시청출입기자 양식[사진= 본지DB].png
세종시청출입기자 양식[사진= 본지DB].png

때문에 세종의 인터넷신문중에는  네이버가 아닌 다음, 구글, 네이트, 줌등에서 기사검색이 가능하고 구독자가 더 많은 언론도 여럿이다.

여기에다 세종의 여러 인터넷 신문은 오히려 구글, 다음, 줌, 카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블로그, 카페등에서 다양한 매체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다.

때문에 구독자와 매체영향력을 고려했다는 세종시 전 공보관의 세종시 광고집행기준의 해명은 객관성이 떨어진다.

세종시청 출입기자들중에는 세종시가 매체 영향력을 광고집행기준이라면, 각각 매체별 특성이 다른 방송과 유튜브, 뉴스통신사가 종이신문보다 훨씬 앞서는 데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충청세상, 세종세상을 지향하는 이 세종경제는 시민의 제보나 영상자료제공의 참여로 이뤄집니다.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장됩니다. 

혈세낭비,각종 인허가 비리와 교권침해, 부당대우, 사건사고,사이비기자 피해, 공무원과 시민 등 미담,모든 얘깃거리와 오 탈자도 제보해주세요.

기사 내용중  <추가제보>나, <보충의견>, <반론문>, <정정문>을 연락해주시면 확인후  성실히 보도하겠습니다.

제보연락처는 esejong1@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