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2023.10)에 이어 후속 방안 발표...국회넘겨
-2003년 이후 21년만에 나온 정부 단일안…27년만의 '보험료율 인상 여부' 주목
-중장년층 연금 보험료 더 빨리 올라…연금재정 안 좋아지면 수급액 줄여
-기초연금 저소득층부터 40만원 인상…의무가입 '59세→64세' 조정 논의
정부가 27년만에 9%인 보험료율은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이 40%까지 줄게 된 것을 42%로 높이는 내용의 윤석열 정부 국민연금 개혁안을 4일 제시했다.
정부가 국민연금 개혁안을 단일안으로 제시한 것은 2003년 이후 21년 만으로, 국민연금 개혁의 공은 국회로 넘어가게 됐다.
주된 골자는 보험료율의 경우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가파르게 인상돼 세대별로 차등을 둔다.
연령이나 가입자 수와 연계해 연금 수급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도 검토된다.
기초연금은 2026년 저소득층부터 40만원으로 10만원 인상된다.
의무가입 연령을 59세→ 64세로 늦추는 방안도 고령자 계속 고용과 함께 논의하게 된다.
퇴직연금 가입을 규모가 큰 사업장부터 의무화하고,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통해 개인연금 가입을 독려한다.
◇⋯보험료율 인상 '9→13%'…소득대체율은 '40→42%'
국민연금심의위원회는 이날 '연금개혁 추진 계획'을 확정했다.
이가운데 1998년 9%가 된 뒤 26년째 같은 수준인 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3%로 높이고, 명목소득대체율을 42%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 보험료율은 가입자의 월소득(기준소득월액) 중 국민연금 보험료로 내는 비율이다.
직장인의 경우 근로자와 사측이 절반씩 부담하지만, 지역가입자는 가입자 개인이 모두 부담한다.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평균소득) 중 연금으로 대체되는 비율로, 연금의 소득보장 수준을 의미한다.
연금개혁에서 논의되는 소득대체율은 40년 가입을 전제로 하는 명목소득대체율이다.
명목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 도입 때 70%로 높게 설계됐으나, 2008년 50%로 낮아진 뒤 매년 0.5%p씩 인하돼 2028년까지 40%로 조정될 예정이다.
올 명목 소득대체율은 42%로, 정부안은 이를 더 이상 낮추지 않고 유지하는 내용이다.
정부안이 국회에서 받아들여져 내년 시행되면 보험료율은 27년 만에 인상된다.
명목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 도입 이후 처음으로 하향 조정을 멈추게 된다.
정부안은 또 하나의 '모수(母數)'로 기금수익률 '1% 제고'도 제시했다.
작년 5차 재정추계 당시 설정된 장기 수익률 4.5%를 5.5% 이상으로 높여 2056년인 기금 소진 시점을 2072년까지 늦춘다는 계획이다.
◇⋯중장년층 보험료율 더 가파른 인상, 재정 악화땐 지급액 줄여
정부안은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면서 세대별로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내년 50대인 가입자는 매년 1%p, 40대는 0.5%p, 30대는 0.3%p, 20대는 0.25%p씩 올리는 방식이다.
이는 중장년층의 저항이 클 것으로 보여 국회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정부는 연금 기금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기대 여명이나 가입자 수 증감을 연금 지급액과 연동해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의 도입도 검토한다.
급여 지출이 보험료 수입을 넘어서는 시점, 기금 감소 5년 전, 기금이 감소하는 시점 등 재정 위험도에 따라 지급액을 달리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현재 지급액은 소비자물가 변동률에 따라서만 조정된다.
◇⋯기초연금 인상 공약 이행…'의무가입 연장'주목
현재 월 30만원인 기초연금과 관련해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인 40만원으로 인상을 추진된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어르신을 대상으로 인상한 뒤, 2027년 전체 대상자(소득 하위 70%)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내 거주 요건(19세 이상 5년), 해외소득·재산 신고의무 신설 등을 통해 기초연금 제도의 내실화도 추진된다.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가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생계급여 지급을 축소하는 방식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현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가 기초연금을 받으면 기초연금액만큼 생계급여에서 감액되는 방식이어서 '줬다 뺏는' 기초연금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해도 기금 고갈로 받을 수 없게 된다는 청년층의 우려를 없애기 위해 국민연금 지급을 법으로 보장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현재 59세인 국민연금 의무가입기간 상한을 64세로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고 기대여명 또한 늘어나고 있는 점을 고려해서다.
다만 의무가입기간만 늘어날 경우 60대 초반의 소득 공백이 더 심해질 우려가 있는 만큼 '고령자 계속고용 여건 개선'과 연계해 장기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군복무·출산 크레딧 확대…퇴직연금·개인연금으로 '다층 연금' 구상
정부는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군복무·출산 크레딧을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군복무 크레딧은 군 복무자에게, 출산 크레딧은 출산 시 가입기간을 추가로 얹어주는 식이다.
군복무 크레딧은 현재 6개월까지만 인정해주는 것을 전체 군복무 기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된다.
출산크레딧은 현재는 둘째 아이부터가 대상이지만, 이를 첫 아이부터로 대상을 넓히는 방안을 논의된다.
저소득 지역가입자의 부담도 완화해 최대 12개월 동안 보험료 절반을 지원하는 사업의 대상과 지원 기간을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에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을 더하는 '다층 연금 체계'를 구상중이다.
이를 위해 퇴직연금이 실질적인 노후소득 보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업장 규모가 큰 사업장부터 퇴직연금 도입 의무화를 추진하고, 영세사업장이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에 가입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된다.
개인연금은 교육·홍보 강화와 세제 혜택 등으로 가입자 확대를 유도하고, 상품 제공기관 간 경쟁을 촉진해 수익률을 개선하는 개인연금 활성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 기사중 일부 내용은 보건복지부 자료를 인용해 작성했습니다.